다아트 안용호 기자 2025.08.26 15:55:52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아르코(ARKO)) 아르코미술관은 미술관의 하이라이트 전시로, 기획초대전 《안티-셀프: 나에 반하여》를 8월 2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개최한다.
《안티-셀프: 나에 반하여》는 아르코미술관의 중견작가를 조명하는 기획 초대전의 일환이자 아르코(ARKO)의 작가조사-연구-비평, 중견작가 지원사업 연계로 마련됐다.
참여 작가는 강홍구, 김나영 & 그레고리 마스, 김옥선, 김지평, 하차연 등 중견작가 5인이다. 전시는 작가 자신에 대한 비평을 통해 예술세계를 개진하는 무게감 있는 중견작가의 궤적을 함축하여 살펴본다.
제1전시실 초입에서는 강홍구 작가의 작품을 만난다. 그런데 어디서 많이 본 사진이다. “'나는 누구인가10’은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저수지의 개들’에 나오는 주인공들의 얼굴에 제 얼굴과 선글라스를 합성했습니다. 일종의 딥페이크 기법이라고 할 수 있죠. 그 옆의 사진은 한강이 있는 엽서를 스캔한 후 제 얼굴을 합성해, 마치 물에 빠진듯한 모습을 만들었어요. 서울 살이의 힘겨움을 물에 가라앉는 것처럼 표현했습니다. 제 자신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고 세상살이에 대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자신을 ‘B급 작가’로 정의하기도 한 강홍구 작가는, 사진을 이용한 초기작업부터 순수 사진 매체의 문법에서 벗어나 이미지를 합성하거나 사진에 채색하는 방식으로 개입하며, 현실을 반추하는 매체로 사진을 활용해 왔다. 익숙하면서 낯선 풍경, 일상에 드리운 전쟁 공포, 자본주의 시간의 일부가 된 여가 시간을 다루는 사진을 낯설게 보기를 통해 현실의 일상을 드러낸다.
김나영 & 그레고리 마스의 작업은 다양한 출처의 유용성이 없어진 사물, 사건들이 다중적 시점과 동기로 재조합되어 현재 맥락에서 재활성화된. 이들 부부의 작업은 조각적 물체와 사물을 재조합하는 형식뿐만 아니라 미술사, 매체의 역사, 일상, 대중매체, 시각문화, 정신분석학 등 경계 사이를 오간다.
“오늘 나는 다른 사람이고 다른 사람일 거야”라고 그들의 아티스트 북에서 말하듯, 다양한 출처와 유용성이 없어진 사물과 사건을 재조합하며, 현재적 맥락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시각언어를 갱신한다.
아르코미술관 2층 제 2전시실은 김옥선, 하차연, 김지평 작가의 작품을 선보인다. 김옥선과 하차연 작가는 자신의 경험에서 출발해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 이방인, 주변적 존재로 연대하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김옥선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이전 작업들과 신작을 합쳐 ‘아틀라스’를 구성했다. 마치 이미지가 작가 자신에 관한 질문처럼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그리고 이미지들이 서로를 지지하고 설명하는 관계성을 만들어내는 아틀라스가 만들어진다. 반복적으로 나오는 작가의 딸, 오래된 가족사진, 국제결혼여성, 이주민들의 얼굴과 야자수, 파도 등의 이미지들이 뒤섞인다. “저는 인물, 자연이 서로 다르게 인식되지 않고 조금씩 변형되는 밀접한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작가의 말이 사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하차연 작가는 언제든 떠나야 하는 상태, 정착하고 떠나기를 반복하면서 그것이 삶의 형태가 된 사람들에 주목한다. 한때 영등포에 살았던 작가는 그곳에서 쪽방 구역을 배회하며 촬영했다. 그리고 집이 없는 사람들을 떠올리며 자신이 서울에 머물게 된다면 이렇게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쪽방’, ‘둥지틀기’, ‘영등포’는 이렇게 탄생했다.
유럽에 거주하면서 유럽 국가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 만난 이민자, 노숙자, 난민이 처함 위기를 목견한다. ‘자리잡기’는 작가로서의 생존, 이동하는 삶 안에서 자리를 잡는 것과 관련이 있다.
미술사, 문헌, 동양화 주류 담론에서 주변부로 밀려난 전통에 주목하는 작가도 있다. 김지평 작가의 ‘없는 그림’은 글로만 남아 부재하는 그림을 지시하는 동시에 오늘날 전통의 부재를 드러낸다. 김 작가는 “화가들끼리 주고 받은 편지, 그림을 주문하기 위해 썼던 글 등 이미지를 봐야 하는데 볼 수 없는 채로 글로 남은 글을 모아 유리장에 새기고 그 안은 비웠어요”라고 말했다.
김지평 작가는 오히려 없는 전통에 홀가분함을 느낀다고 말하며 전통에 잠재되어 있는 가능성을 바라본다. 그 과정에서 ‘없는 전통’은 역설적으로 ‘있는’ 것으로서 복귀해 새로운 해석의 공간을 열어둔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자기 진술과 비평에 주목하는 작품 112여 점을 선보인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본질적 물음을 통해 작가 자신이 시각 언어나 매체, 한국 미술의 자장 안에서 자신의 작업을 갱신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정병국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은 “아르코 하이라이트전을 통해 아르코미술관의 대표 프로그램인 중견작가 기획전을 브랜딩하고 중견작가를 프로모션하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시는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 소재한 아르코미술관에서 화~일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관람할 수 있고 입장료는 무료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